
월세나 전세 계약에서부터
아파트, 건물, 토지 등의 매매에 이르기까지
누구나 살면서 한 번 이상은 부동산 거래를 한다.
안전한 부동산 거래를 위해
계약 전,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권리분석이다.
권리분석이란?
원룸, 오피스텔, 아파트, 토지, 상가건물 등
모든 부동산에는 권리가 설정되어 있다.
아파트 전월세 계약 또는 매매 시에
자주 들어보았을 만한
임차권, 전세권, 근저당권부터
토지 경매사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
지상권, 지역권까지
부동산에 설정되는 권리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.
부동산 거래를 할 때
부동산 권리에 문제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
'권리분석'이라고 한다.
따라서 권리분석은 부동산 거래 시에
본인의 재산을 스스로 지키기 위해
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.

경매에서 권리분석이란?
부동산 경매에서 권리분석이란
현재 설정된 권리가 낙찰 후
낙찰자에게 인수되는지 혹은 소멸되는지
파악하는 것을 말한다.
경매로 나온 부동산은
여러 명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경우가 많아
입찰 전 더욱 철저한 권리분석이 필요하다.
우리가 경매를 하는 이유는
일반 매매보다 더 싸게 사서
이익을 얻기 위함이다.
그런데 권리분석을 잘못하면
낙찰자가 인수되는 권리를 고스란히 떠안아
낙찰대금 말고도 훨씬 더 큰 추가 비용을 내거나
소유권을 잃는 등
일반 매매로 사는 것보다
오히려 더 큰 비용을 치를 수도 있다.
따라서 부동산 관련 사고를 막고
본인의 재산을 지키려면
반드시 입찰 전에 권리분석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.
'신부의 이야기 > 재테크를 시작했습니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 경매] 채권과 물권, 왜 임차권은 채권이고 전세권은 물권인가? (0) | 2022.08.22 |
---|---|
[부동산 경매] 알아두면 유용한 경매 사이트 (0) | 2022.07.14 |
[부동산 경매] 경매의 절차 (0) | 2022.07.12 |
[부동산 경매] 경매란 무엇인가?(feat. 권리분석) (0) | 2022.07.08 |
[부동산 경매] 경매 용어 정리 - 유찰과 배당이란? (0) | 2022.07.06 |